-
AMD 기본쿨러 vs TRINITY 7.0 체감 성능 비교컴퓨터 일반/일반 Tools 2023. 2. 14. 01:41반응형
이 글은 객관적인 지표 없이, 주관적으로 느낀 점을 썼습니다.
<현재 컴퓨터 스펙>
CPU : AMD Ryzen 1700
Mainboard : ASROCK AB350M PRO4
RAM : SAMSUNG 3200 16G * 2
GPU : RTX 2070TI
CPU는 현재 3.6GHz, 1.3V로 오버클럭중이다.
CPU의 최고온도는 95도다.
기본쿨러로 1080p 30fps 기준 동영상 랜더링시, 최고온도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5분 이내.
최고 온도를 찍으니 랜더링이 더 오래걸리는 이슈가 있는 듯 하다.
아마 최고온도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게끔 성능저하를 일으키는 걸로 추정한다.
그래서 TRINITY 7.0 쿨러를 구매했다.
배송받아 열심히 장착을 했다.
메인보드를 들어내지 않고 기존 쿨러 제거 후 장착하는데 볼트 끼우는게 굉장히 힘들다.
손이 섬세하지 않은 사람은 못끼울듯...
본체의 팬이 만들어내는 방향대로 잘 장착해주도록 한다.
방열판에 구리 축이 8개가 있어서 쿨링이 더 잘되는 것 같다.
이제 동영상 랜더링 시 최고온도까지 도달하는시간이 약 10분 이상으로 연장됐다.
아래는 친구와 카톡한 내용이다.
20분짜리 동영상을 랜더링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약 20% 빨라진것 같다.
(정확하게 측정은 해보지 않아 잘 모르겠음)
게임할때 확실히 CPU온도상승이 더디고, 많이 안올라간다.
배틀그라운드 기준으로 기존에 70~80도를 유지했다면
지금은 60도 내외가 나온다.
CPU 온도 측정은 Ryzen Master라는 프로그램으로 했다.
결론
SW개발, 고사양게임, 동영상 랜더링 등으로 CPU를 혹사시킬 일이 있다면 AMD기본쿨러 사용을 지양합시다.
사담
배틀그라운드를 할때, GPU사용율은 30% 정도고 랜더링 지연시간도 굉장히 빠르다.
GTX1070은 랜더링지연시간이 약 20~30ms였는데 RTX2070TI는 10ms이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FPS가 60 넘기는걸 어려워하고 있다.
근데 배틀그라운드하는데 FPS가 너무 안나와서 메인보드 세팅을 보니,
CPU가 RAM 클락을 2400만 지원하고 있었다.
작업용으로는 좋지만 게임용으로는 안좋은 것 같다.
그래서 게임용으로 좋게 출시되었다는 라이젠 5600X를 주문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라이젠1700과 5600X의 체감성능을 비교해봐야겠다.
728x90반응형'컴퓨터 일반 > 일반 Too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S Code] AppData 폴더를 만들 수 없습니다. 엑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해결법 (0) 2024.01.09 Pydroid3 터미널 폰트 크기 조절하기 (0) 2023.03.26 태블릿 갤럭시탭에서 파이썬을 실행해보자 Pydroid3 설치 (0) 2023.03.26 램, GPU, CPU 교체하면서 게임 fps 차이(배그 프레임율 올리기) (0) 2023.02.15 ASROCK 메인보드 바이오스 업데이트 방법,순서 , AB350M PRO4 7.2 업데이트 (0) 2023.02.15 ASROCK AB350M PRO4, Ryzen 5600X 부팅안되는 문제 (0) 2023.02.15